1. 졸업 후 진로
정보통신공학전공 졸업생들은 급변하는 디지털 산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기술을 융합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재로 성장합니다.
특히 인공지능(AI), 클라우드 컴퓨팅, 빅데이터 분석, 사이버 보안, IoT(사물인터넷), 5G/6G 통신, 자율주행, 양자·위성통신 등 차세대 ICT 산업 전반에 걸쳐 핵심 기술을 선도하는 엔지니어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.
졸업생들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기술 개발, 시스템 설계, 데이터 분석, 보안 및 플랫폼 기획 등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2. 주요 진출 분야
- 1차세대 정보통신 기술 분야
- 5G/6G 이동통신, 위성통신, 광통신, 양자통신 등 차세대 네트워크 설계 및 인프라 구축
- 이동통신사(R&D), 네트워크 장비 개발사, 통신 모뎀 및 칩셋 설계 회사 등으로 진출
- 2사물인터넷(IoT) 및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
- 스마트홈, 스마트팩토리, 헬스케어 기기, 드론, 자율주행 등 IoT 기반 융합 시스템 개발
- 센서 연동 및 실시간 통신 기반의 임베디드 제어 시스템 설계 및 최적화
- 3AI·빅데이터·클라우드 기반 ICT 솔루션 분야
- 머신러닝/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, 클라우드 인프라 운영, 데이터 기반 서비스 설계
- 금융, 유통,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AI 솔루션 개발자,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 활동
- 4정보보안 및 사이버 보안 분야
- 통신 인프라 보안, 인증 시스템, 해킹 대응, 개인정보 보호 솔루션 개발
- 보안 전문기업, 금융권 IT 보안팀, 공공기관 정보보호 전담부서 등에 진출
- 5융합 ICT 분야 및 신산업 창업
- 블록체인, 디지털 트윈, XR(확장현실), 바이오-IT 융합 시스템 등 미래 지향 융합 기술 분야
- 기술 기반 스타트업 창업 및 연구개발 전담 벤처기업 진출
3. 직무 유형별 진출 가능 분야
직무 유형 | 진출 분야 |
---|---|
SW 개발 | AI 개발자, 빅데이터 엔지니어, IoT 플랫폼 개발자, 백엔드/서버 개발자, 클라우드 엔지니어 |
HW 설계 | 통신 모듈 설계,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, 센서 연동 하드웨어 엔지니어 |
네트워크/통신 | 5G/6G 프로토콜 개발, 무선통신 시험/검증, 네트워크 트래픽 최적화 |
보안/인증 | 정보보호 컨설턴트, 보안 솔루션 엔지니어, OT/IT 융합 보안 전문가 |
융합기술 | 자율주행 시스템 통합,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 개발, XR 기반 콘텐츠 시스템 기획 |
연구 및 창업 | 국가 연구소/대기업 연구소, 기술 기반 스타트업 창업 |
4. 졸업생 주요 진출처 예시
- 삼성전자, LG전자, SK텔레콤, 현대자동차, HD현대, 에릭슨-LG, LIG넥스원, KT, 네이버, 카카오 등
- 한국전자통신연구원(ETRI)
- AI 기반 스타트업, 정부 과제 수행 연구소, 글로벌 ICT 기업 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