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통신공학은 첨단 ICT 기술의 이론적 기초와 실무 역량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합니다. 졸업생들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소프트웨어(SW) 및 하드웨어(HW) 직군 모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1. 인공지능 및 차세대 ICT 분야
- 인공지능(AI): 딥러닝, 머신러닝 모델 개발, 추론 시스템 구축, AI 기반 예측 시스템 설계 등
- 빅데이터: 대규모 데이터 수집·분석, 데이터 마이닝, 통계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
- 클라우드 컴퓨팅: 퍼블릭/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분산시스템 설계 및 운영
- AI 반도체 및 엣지 컴퓨팅: 저전력 AI 처리 칩 개발, 지능형 IoT 디바이스 구현
2. 사물인터넷(IoT) 및 스마트 시스템
- 임베디드 시스템 및 센서 네트워크: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 제어 시스템, 실시간 데이터 수집·처리
- 스마트홈·헬스케어: AI 융합 스마트 가전, 웨어러블 디바이스,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
- 자율주행 및 드론 시스템: 센서 융합, SLAM, 실시간 영상처리 및 경로 계획 알고리즘 개발
- XR (AR/VR): 증강/가상현실 기반의 인터랙티브 콘텐츠 및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
3. 첨단 통신기술
- 5G/6G 이동통신: 네트워크 슬라이싱, URLLC, Massive MIMO, 밀리미터파 기반 설계
- 광통신 및 위성통신: 고속 데이터 전송 시스템, 위성 링크 설계 및 분석
- 양자통신: 양자암호 기반 보안통신 시스템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
4. 융합 산업 및 창업 진출
- 금융 IT / 바이오 IT: AI 기반 금융 리스크 분석, 의료 영상 분석, 유전자 데이터 기반 진단보조 시스템 개발
- 지능형 산업자동화: 스마트 팩토리, 디지털 트윈, 제조 공정 최적화
- 기술창업 및 벤처: ICT 기반 스타트업 창업, 기술기반 제품 및 서비스 기획·실행
- 주요 진출 직무
- 시스템/소프트웨어 개발자
- 인공지능·데이터 엔지니어
- 통신 및 네트워크 엔지니어
- 정보보안 전문가
- IoT/임베디드 개발자
- 클라우드/DevOps 엔지니어
- IT 컨설턴트 및 기술기획 전문가
- ICT 융합 창업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