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전공 소개 및 교육 목표
- 인공지능과 ICT 기술 및 기타 산업과의 융합 및 연계를 통해, 인공지능 전문가를 넘어 산업과 미래 사회를 선도할 인공지능 분야 융합형 인재 양성
- D.N.A(빅데이터·네크워크·AI) 분야와 연계, SW중심의 특성화를 통한 다양한 ICT 분야에 대해 AI 응용 및 융합이 가능한 첨단 디지털 전문 인력 양성
- 첨단 ICT 신기술 분야(Target-X)에 대한 인공지능 응용 교육 중심
- Target-X 예시: 차세대통신, AR/VR, 실감미디어, 메타버스, 디지털트윈, 자율주행, 미래자동차, IoT/가전, 지능형로봇 등
- 학위명
- 소속 학과(부)의 졸업요건과 융합전공 이수 요건을 모두 충족한 학생에게 해당 융합전공의 이수를 인정하며 학위증에 다음과 같은 학위명을 병기함
- 학위명 : 인공지능·ICT융합 공학사 (Bachelor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ICT convergence)표기 예시) 주전공 정보통신 공학사 융합제2전공 인공지능ICT융합 공학사
- 소속 학과(부)의 졸업요건과 융합전공 이수 요건을 모두 충족한 학생에게 해당 융합전공의 이수를 인정하며 학위증에 다음과 같은 학위명을 병기함
- 이수학점
- 신청 가능 학과: 정보통신공학과, 전자공학과, 데이터사이언스전공(구, 데이터테크놀로지전공)
- 원소속 이수학점과 융합전공 이수학점의 합이 단일전공 시 원소속학과의 최소 전공 졸업이수학점 이상이 되도록 이수하여야 함
- 융합전공 교과목 중 필수로 지정된 교과목을 포함하여 36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. 단, 원소속 학과에서 이수한 전공 교과목과 융합전공 교과목이 일치할 경우, 융합전공의 해당 과목을 최대 21학점까지 전공학점으로 이수한 것으로 인정함. (융합전공 교과목 중, 타 학과 개설 교과목 이수학점이 15학점 이상이어야 함)
- 융합전공 교과목 중, 선택하여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교과목들은 중복 인정 안 됨. (택1의 경우 한 과목만, 택2인 경우 두 과목만 융합전공 이수학점으로 인정함)
교육과정 융합전공명 공통
교양핵심
교양학문
기초
교양융합
학문
기초
교양일반
교양단일
전공다전공 부전공 자유
선택합계 비고
(주관학과)원소속
전공제1
전공제2
전공인공지능·
ICT융합소속학부(과)
지정 학점0 자율 - 36 - 36 - 자율 소속학부(과)별 최소졸업 학점 정보통신공학과,
전자공학과,
데이터사이언스
전공(DS)
- 인공지능·ICT융합 융합전공 교과과정(2025학년도 기준)
- 융합전공 교과목 중 필수로 지정된 교과목을 포함하여 36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. 단, 원소속 학과에서 이수한 전공 교과목과 융합전공 교과목이 일치할 경우, 융합전공의 해당 과목을 최대 21학점까지 전공학점으로 이수한 것으로 인정함. (융합전공 교과목 중 타 학과 개설 교과목 이수학점이 15학점 이상이어야 함)
- 융합전공 교과목 중 선택하여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교과목들은 중복 인정 안 됨. (택1의 경우 한 과목만, 택2인 경우 두 과목만 융합전공 이수학점으로 인정함)
- 데이터테크놀로지 전공이 2025-1학기부터 데이터사이언스 전공으로 일괄 전환함에 따라 데이터테크놀로지 과목들이 폐지되고 데이터사이언스 교과목들이 신규 개설됨(데이터테크놀로지 전공 교과목은 24년도 2학기까지 인정)
- 인공지능ICT융합 교과목 관련 문의는 각 학과 주임교수 혹은 하대한 특임교수(031-324-1126)
교육과정 대상 학년 기준 학년 교과목명 학점 시간 개설(관장)학과(부) 기존/신설 비고 1 사물인터넷기초 3 3 정보통신공학 기존 기초프로그래밍2 3 3 데이터사이언스 기존 파이썬 3 3 정보통신공학 기존 A 필수(택1) 기초프로그래밍1 3 3 데이터사이언스 기존 2 고급C언어 2 2 전자공학 기존 데이터사이언스개론(구, R통계분석) 3 3 데이터사이언스 기존 DS만 필수
정통, 전자는 선택기초웹프로그래밍 3 3 데이터사이언스 기존 디지털시스템 3 3 전자공학 기존 반도체공학 3 3 전자공학 신규 고급C언어 3 3 정보통신공학 기존 2024학년도까지 인정 자료구조 3 3 전자공학 기존 알고리즘 3 2 데이터테크놀로지 기존 3 확률및랜덤프로세스 3 3 정보통신공학 기존 정통, 전자 필수
DS는 선택신호및시스템 3 3 정보통신,전자공학 기존 정통, 전자 필수
DS는 선택파이썬 수치해석 3 3 전자공학 기존 머신러닝(구, 인공지능) 3 3 데이터사이언스 기존 B 필수(택1) 기계학습 3 3 정보통신공학 기존 딥러닝 3 3 정보통신공학 기존 필수(택1) 네트워크프로토콜 3 3 정보통신공학 기존 디지털통신 3 3 정보통신공학 기존 모바일컴퓨팅 3 3 데이터사이언스 기존 빅데이터프로그래밍 3 3 데이터사이언스 기존 디지탈신호처리 3 3 전자공학 기존 지능형센서응용 3 3 전자공학 기존 텍스트애널리틱스 3 3 데이터사이언스 신규 멀티미디어통신 3 3 정보통신공학 신규 Vision 및 AI응용 3 3 정보통신공학 신규 컴퓨터비전시스템 3 3 전자공학 기존 2024학년도까지 인정 센서기반사물인터넷 3 3 정보통신공학 기존 데이터베이스 3 3 데이터테크놀로지 기존 블록체인기초 3 3 데이터테크놀로지 기존 컴퓨터그래픽스 3 3 전자공학 기존 통신공학 3 3 전자공학 기존 4 캡스톤디자인1 3 3 정보통신, 전자공학 기존 C 필수(DS 택1,
정통, 전자는 택2)캡스톤디자인2 3 3 정보통신, 전자공학 기존 캡스톤디자인 3 3 데이터사이언스 기존 이동통신 3 3 정보통신공학 기존 딥러닝 3 3 데이터사이언스,
전자공학기존 필수(택1) 데이터사이언스특론
(구, 데이터사이언스)3 3 데이터사이언스 기존 클라우드시스템 3 3 데이터사이언스 신규 최신AI이론및응용 3 3 정보통신공학 신규 영상처리 3 3 정보통신공학 기존 2024학년도까지 인정 컴퓨터통신망 3 3 전자공학 기존 디지털통신 3 3 전자공학 기존 미정 뉴로모픽반도체설계 3 3 전자공학 신규